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애틀랜타 한인타운은 북상 중"...한인 인구 증가로 상권 넓혀가

파리바게트 "향후 수년간 15개 매장 더 오픈"   과거 도라빌 뷰포드 하이웨이 중심으로 형성됐던 애틀랜타의 한인타운이 북상 중이라고 지역매체 애틀랜타 저널(AJC)이 보도했다.   도라빌 뷰포드 하이웨이는 1980년대부터 한국 식품점, 상점, 식당들이 들어선 후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을 지나며 전성기를 구가했다. 그런데 이제는 소수의 한식당만 남고 애틀랜타 동북쪽의 귀넷 카운티 둘루스와 스와니로, 뷰포드로 북상하는 추세다.   처음 뷰포드 하이웨이에서 한식당들이 북상한 계기는 1996년 올림픽 이후 애틀랜타가 주목을 끌며 뷰포드 하이웨이 선상에 여러 이민 커뮤니티가 자리 잡으면서부터다. 한인 비즈니스 업소들은 더 넓은 공간과 저렴한 임대료를 쫓아 북상했다는 것이 AJC의 분석이다.   둘루스에는 동남부에서 가장 큰 한인타운이 자리잡고 있다. 한식당뿐 아니라 한국식 베이커리 카페, 미용실, K-뷰티 상점, 스킨케어 클리닉 등 다양한 종류의 비즈니스가 모여있다.   둘루스가 중심이라고는 하지만, 최근 I-85번을 따라 북쪽 지역인 스와니(111번 출구), 뷰포드(115번 출구) 등지로 한인 거주자들이 늘면서 비즈니스도 덩달아 북상하는 추세다. I-85 120번 출구 인근에는 지난해 말미트(Meat) 120 코리안 비비큐(대표 이민우) 식당이 생기며 새로운 한인상가가 형성될 조짐을 보였다.   귀넷 카운티의 한인 인구는 해가 갈수록 늘고 있다. 센서스 통계에 따르면 귀넷의 아시아계 인구는 2000년 이후 3배 가까이 증가했으며, 2010년 이후 한인 인구는 40% 늘었다. 애틀랜타 총영사관에 따르면 조지아에는 현재 15만 명이 넘는 한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특히 스와니에 가장 많은 한인이 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조지아에 진출한 한국 기업 또한 한인 인구 증가의 큰 요인 중 하나다.   AJC는 유명 베이커리 체인점 파리바게트로 애틀랜타 한인타운의 성장을 분석했다. 파리바게트는 2013년 도라빌에 조지아 첫 매장을, 2016년에 둘루스점을, 가장 최근에는 스와니와 뷰포드 매장을 열었다. 닉 스카치 파리바게트 아메리카 COO(최고운영책임자)는 “조지아는 흥미진진한 시장이다. 향후 몇 년간 알파레타, 존스크릭, 커밍, 사바나 등지에 15개 매장을 더 열 계획”이라고 밝혔다.   도라빌에서도 한식당은 여전히 인기가 많다. 비한인 고객 비율이 높지만 K-컬처에 관심이 높고, 마리에타나 애틀랜타에 사는 주민들에게 도라빌이 가깝기 때문이다. 윤지아 기자애틀랜타 한인타운 애틀랜타 한인타운 지역매체 애틀랜타 애틀랜타 동북쪽

2025-02-07

내년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 애틀랜타서 열린다

대회 인프라 문제없어...한국 기업 부스 400개 이미 예약   조지아주 애틀랜타가 내년 제23차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WKBC)의 개최지로 확정됐다. 당초 미주한인상공회의소총연합회(회장 이경철)가 4월에 개최할 예정이었던 제1회 미주한인비즈니스대회가 WKBC로 격상돼 열린다.   상의총연합회와 비즈니스대회 운영위원들은 12일 기자 간담회를 갖고 재외동포청의 결정, 준비 현황 등에 대해 설명했다. 재외동포청은 11일 밤 비즈니스대회 운영위원회를 통해 내년 4월 17~20일 둘루스의 개스사우스 컨벤션센터에서 행사를 여는 것으로 확정했다. 대회 주최는 총연이, 주관은 조지아한인상의가 맡고, 박선근 한미우호협회 회장과 네이선 딜 전 조지아 주지사가 명예대회장으로 선임됐다.   내년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는 당초 중국 칭다오에서 열릴 예정이었지만, 중국 정부의 지원이 확정되지 않아 무산됐다. 동포청은 지난달 새로운 국내외 개최지를 모집했는데, 애틀랜타가 유일하게 신청해 확정됐다.   이경철 총연 회장은 “애틀랜타 한인사회 역사상 가장 큰 행사가 될 것”이라며 "주미대사관, 재외동포청을 비롯해 한국의 주요 경제단체들과 협력하여 세계비즈니스대회를 개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캘리포니아 오렌지카운티에서 열린 한인비즈니스대회의 조직위원장을 맡았던 황병구 총연 명예회장도 “애틀랜타 이민 역사 중 이런 행사는 처음이자 마지막이 될 것”이라며 “전직 회장들과 원로들이 모두 모여 조지아 한인 동포들을 하나로 통합해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대회를 주관하는 애틀랜타-조지아 한인상공회의소(회장 한오동)는 "내년 50주년을 맞아 더 뜻깊은 행사가 될 것"이라며 “동남부 5개 주 비즈니스들이 참여하고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조지아한인상의는 2022년 제21차 대회 선정지 경쟁에 뛰어들어 오렌지 카운티, 뉴욕, 댈러스 등과 경쟁했으나 탈락했다. 당시 상의 회장을 맡았던 썬 박 스타트업위원회 부위원장은 “감회가 남다르다”며 소감을 전했다. 현지 시찰단이 2년 전 애틀랜타를 방문했을 때 “역량이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라면서도 그때와는 달라진 장소와 성장한 인프라에 자신감을 나타냈다. 개최지인 개스사우스 컨벤션센터 바로 옆에 웨스틴 호텔이 문을 열면서 10분 거리에 1만5000개 객실이 있어 인프라는 걱정 없다는 입장이다.   강신범 운영본부장은 “이번 기회를 통해 애틀랜타 ‘시골동네’를 전 세계에 알리고 싶다”며 한국 기업들의 미국 시장 진출을 돕고 지역사회 상공인들에게도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축제처럼 로컬 관람객들이 방문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주최측에 따르면 450개 부스 중 405개 부스가 이미 한국 기업들로 예약됐으며, 계속해서 참여 문의가 들어오고 있다. 예산은 약 500만 달러 정도로, 오렌지카운티에서 열린 대회보다 적지만, 이 회장은 “컨벤션의 크기, 물가 차이 등의 이유도 있고, 노하우가 생겨서 효율성을 높여 개최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대회까지 4개월 남짓밖에 남지 않은 것에 대해 이 회장은 “미주한인비즈니스대회 준비 발대식을 지난 5월에 했는데, 그 전부터 행사를 준비해왔다. 한국 지방자치단체 13곳도 참여를 확정했으며, 바이어 유치도 활발하게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회장에 따르면 한남체인, H마트, 키스, 아르코(ARCO) 등의 바이어들이 참여한다. 주최 측은 애틀랜타에 본사를 둔 코카콜라도 바이어 참여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취재, 사진 / 윤지아 기자 한인비즈니스대회 애틀랜타 조지아주 애틀랜타 애틀랜타 한인사회 애틀랜타 한인타운

2024-12-12

"예의 있고 친절한 한인타운 됐으면" 이소망 조지아주립대 대학원생

"영어를 잘 몰라도 생활할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이런 점이 한인사회에 다가오고 싶어하는 미국인들을 낯설게 하는 것 같아요. 한인들이 시선을 넓히고, 다양한 곳을 경험하면서 즐겁게 생활하면 좋겠습니다."   조지아주립대(GSU) 앤드류 영 공공정책대학원에서 형사사법학을 공부 중인 이소망(22)씨는 친구들과 둘루스 한인타운을 종종 이용한다. 한국 화장품 가게에서 좋아하는 화장품을 사고 한인 카페에서 친구들과 만나 시간을 보내곤 한다.     이씨는 지난 15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한국 상품이 좋고, 늦은 시간까지도 운영하고, 무엇보다 직원분들이 친절하게 잘 챙겨준다"면서 "친구들이랑 한인타운을 편하게 이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애틀랜타 한인타운은 뉴욕과 LA에 이어 세 번째 규모를 자랑한다. 청년들의 눈에 비친 한인타운에는 친절하고 따뜻한 마음을 가진 한인들이 주를 이루고 있지만 일부 무례하고 낯선 분위기 역시 공존하고 있었다.     이씨는 "요즘 (한인이 아닌) 친구들이 한국에 관심을 많이 갖고 좋아하는데 마켓이나 식당을 이용할 때 한국어로 응대하니까 어려워할 때가 많다"면서 "영문 표기를 잘 해두면 도움이 될 것 같다"고 전했다.     이씨는 한인 사업주들이 자신의 비즈니스를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아끼는 마음이 보일 때 해당 업소를 지지하고 더 이용하게 된다고 밝혔다.     그는 "어르신들이 고마워 해서 점심도시락을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저렴하게 판매하는 한식당, 손님을 꼼꼼하게 챙겨주는 한국화장품 매장, 자신의 사업을 진심으로 아끼는 카페 등이 많다"면서 "개인적으로는 나랑 비슷한 모습에, 비슷한 걸 좋아하고 먹는 한인들과 함께 살고 있어 좋고, 한국의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한인 상권이 있어 좋다"고 설명했다. 이어 "하지만 일부 어르신들이 직원을 무시하고 무례하게 행동하기도 한다"면서 "이런 점은 고쳐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씨는 부모님과 친구들과 한국어로 대화하고 한국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한국어를 공부했다. 이렇게 배운 한국어를 학교와 교회에서 활용하고 있다.     그는 "선생님과 함께 연구하고 보고서나 논문의 문법을 검토하는 일을 하고 있으며, 주1회 교회에서 한국어 설교를 영어로 번역하는 봉사를 하고 있다"면서 "서로의 언어를 잘 이해하기 위해 더 많이 소통하게 되니 경험도 쌓이고 보람도 느낀다. 한국어와 영어를 의미 있게 사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한인 청소년, 청년들은 미국에 살고 있지만 한국의 문화를 잘 알고 유행을 함께 따르며 좋아한다"면서 "한국인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이씨는 새해에도 이중언어를 활용한 봉사를 계속해 나갈 계획이다. 그는 "어려운 시기에 처해 있더라도 좋은 마음을 갖고 살면 좋은 사람이 되는 것 같다"면서 "새해에는 더 많이 봉사하고, 교회와 학교에서 도움이 되는 기회를 많이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배은나 기자조지아주립대 한인타운 이소망 조지아주립대 애틀랜타 한인타운 둘루스 한인타운

2021-12-3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